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git
- PIPELINE
- 마이에스큐엘
- azure deveops
- MySQL
- 도커
- 조인
- deveops
- CI/CD
- Azure
- node.js
- nginx
- aws devops
- CSS
- 데이터타입
- 리액트
- AWS
- 자동화
- azure devops
- slack
- devops
- 배포자동화
- 배포
- github
- 자동배포
- 클라우드
- docker
- react
- Pull
- 데브옵스
Archives
- Today
- Total
Full_Stack developer
css 폰트 속성 알아보자 본문
0


CSS - CSS 폰트 사이즈 |
CSS에서는 글꼴의 크기를 지정시 font-size 속성을 사용하게 됩니다
속성값은 가장 대중적인 부분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
rem - html 태그에 적용된 font-size의 영향을 받습니다 html 태그의 폰트 크기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습니다
px - 모니터상의 화소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입니다 고정된 값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지만 사용자가 글꼴의 크기를 조정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
em - 부모태그의 영향을 받는 상대적인 크기입니다 부모의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파악하기 어려우며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고 합니다
사용법 : font-size: [속성 값]
File : my.html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my.css" type="text/css">
</head>
<body>
<div id="rem">REM</div>
<div id="px">PX</div>
<div id="em">EM</div>
</body>
</html>
File : my.css
@charset "utf-8";
#rem {font-size:4rem;}
#px {font-size:4px;}
#em {font-size:4em;}
출력결과 :
CSS - CSS 폰트두께 |
CSS에서는 두께를 지정시 font-weight 속성을 사용하며 속성값은 bold만 아시면 될것으로 보입니다
사용법 : font-weight: [속성값]
File : my.html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my.css" type="text/css">
</head>
<body>
<div id="rem">REM</div>
<div id="px">PX</div>
<div id="em">EM</div>
<div id="bold">
폰트의 두께
</div>
</body>
</html>
File : my.css
@charset "utf-8";
#rem {font-size:4rem;}
#px {font-size:4px;}
#em {font-size:4em;}
#bold {font-weight:bold;}
출력결과 :

CSS - CSS 줄간격 |
CSS에서는 줄간격을 지정시 line-height 속성을 사용합니다
사용법 : line-height: [속성값]
File : my.html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my.css" type="text/css">
</head>
<body>
<div id="rem">REM</div>
<div id="px">PX</div>
<div id="em">EM</div>
<div id="bold">
폰트의 두께
</div>
</body>
</html>
File : my.css
@charset "utf-8";
#rem {font-size:4rem;}
#px {font-size:4px;}
#em {font-size:4em;}
#bold {font-weight:bold;}
div {line-height:4;}
출력결과 :

CSS - CSS font 속성 |
위의 내용처럼 전부 적게되면 기억하여야 될것도 많으며 코드가 많이 길어지게 되며, 이러한 경우에 간결하게 표현하는 속성입니다
사용시 순서를 잘확인하셔서 사용하셔야 됩니다
순서 - font: font-style font-variant font-weight font-size/line-height font-family
사용법 : font : [폰트두께] [폰트사이즈] [줄간격] [서체]
File : my.html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test.css" type="text/css">
</head>
<body>
<div id="font_ss">
폰트 속성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속성입니다
</div>
</body>
</html>
File : my.css
@charset "utf-8";
#font {font:bold 5rem/2;}
출력결과 :
'FE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텍스트 정렬 text-align (0) | 2024.01.25 |
---|---|
css 선택자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1.25 |
CSS 란 ?? (0) | 2024.01.25 |